결국, 커넥션이라는 것을 유지하냐 혹은 하지 못하냐의 문제는 TCP 커넥션의 의미이다. 결국 TCP 커넥션이 유지되는지에 대한 문제는 TCP 커넥션을 유지하는 튜플이 중점이다. source IP & PORT, destination IP & PORT 이것들이 유지되는지에 대한 문제이고 이 중 하나라도 변경되면 커넥션이 끊어진다.
이 네가지 튜플을 본다면 커넥션의 유무를 파악할 수 있다. 즉, 우리가 봐야할 것은 서버의 IP와 포트번호는 변경되지 않고 클라이언트 자체의 IP가 변화되는지를 확인하면 된다. 네트워크 망이 하나의 스위치에 묶여있고 하나의 게이트웨이 라우터를 공유하고 있으므로 같은 서브넷에 속하여 해당 AP 에서는 TCP 커넥션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트래픽이 새로운 방향을 흘러가기 위해서는 스위치 안에 있는 스위치 테이블만 변경하면 되는 것이다. 그 스위치 테이블을 self-learning 을 사용해서 자기자신의 스위치 테이블을 업데이트한다.
추가 내용 (읽어보는 수준)
wifi 채널, AP 와 wifi 호스트 사이에 무선 채널의 퀄리티가 결국 AP 와 모바일 호스트 사이의 거리에 좌우된다. 액세스 포인트에 가까우면 가까울수록 무선채널의 성능이 올라간다. 무선 채널의 성능을 보통 SNR 이라는 매트릭을 사용하여 나타낸다. Signal-to-Noise Ratio 인데, 신호대 잡음비로 노이즈 대비 시그널 비율이 좋으면 좋을수록 채널의 상태가 좋은 것이다. SNR 매트릭의 자체, 값이 높으면 높을수록 채널 성능이 더 좋음을 말한다. 가까이 있으면 가까이 있을수록 SNR 이 올라간다. 멀면 멀수록 SNR 이 낮다.
여기서 AP와 모바일 호스트 사이의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는 사실 0과 1로 이루어진 디지털 데이터들이다. 이 디지털 데이터들을 무선 채널을 통해서 보내고자 하는데, 실제 무선 채널을 일렉트로닉한 웨이브이다. 보내고자 하는 데이터는 디지털인데, 실제 신호는 하날로그의 웨이브이다. 사실 우리의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웨이브에 임베디드 시켜서 보내는 것이다. 그러면 아날로그 웨이브를 해당 디지털 데이터를 임베디드하여 보내는 경우 규칙이 필요하다. 그래서 좀 더 많은 데이터를 짧은 웨이브에 임베디드 할 수 있고 적은 데이터를 긴 웨이브에 임베디드하여 보낼 수 있다. 여기서 임베디드를 어떠한 방식으로 coding 하느냐 생각해볼 수 있다.
시그널이 좋은 경우, 더 많은 데이터를 짧은 웨이브에 임베디드하려고 할 것이다. 가까이 있다. 채널상태가 좋고 SNR이 높다. high coding rate 가 high date rate 가 가능한 전송방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보낼 것이다. SNR 이 낮으면 작은 coding rate 를 가진 전송방식을 사용할 것이다.
wifi에서 사용하는 맥 프로토콜인 CSMA/CA 에서의 핵심은 데이터를 보내고 ACK를 받는 것이다. ACK는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리시버가 정상적으로 받았을 때 온다. 하자만 에러섞인 프레임으로 인해 리시버는 ACK를 보내지 못하고 결국 backoff 하게 되고, 한단계 낮은 coding rate 를 사용한다. 그래서 실제로 AP와 wifi 호스트 사이에 date rate adaptation 이 이루어지고 있다. 채널환경에 따라서 date rate 를 높였다가 낮췄다가, coding rate 를 에러에 강한 걸 쓰던가 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wifi 네트워크 카드가 많은 일을 하고 있는 것이다.
power management
wifi 네트워크가 무선통신을 하는데, computation 할 때 들어가는 전력과 무선통신을 사용해서 패킷을 주고받을 때 사용하는 전력에 대해서 둘의 차이는 통신에 관해 소모되는 전력이 굉장히 크다. 따라서 리셉션하는 회로 부분을 꺼두면 좋다. 그래서 RTS-CTS의 경우 defer 구간에서 transmission과 익센셥을 담당하는 부분은 off가 된다.
[ 2018 05 16 ]
네트워크 강의는 여기까지 듣고, 기존에 공부하였던 내용들을 바탕으로 체크리스트 작성해서 질의응답 및 심화된 내용 정리가 필요할 것 같다.
'네트워크 > 네트워크 강의 들은 것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80609 네트워크 정리 02 답변 (0) | 2018.06.09 |
---|---|
20180609 네트워크 정리 01 답변 (0) | 2018.06.09 |
20180514 20 : Wireless And Mobile Networks 2 (0) | 2018.05.14 |
20180513 19 : Wireless And Mobile Networks (0) | 2018.05.13 |
20180509 18 : Switch (0) | 2018.05.09 |